본문 바로가기

긴급재난지원금

헷갈리는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 가맹점이면 거의 사용가능!!

2020. 5. 14.


긴급재난지원금의 취지가 코로나19로 위축된 골목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다만 대기업 유통업제라도 소상공인 임대 매장은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고, 대형 마트 내의 소상공인 운영매장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12일 유통 식품업계에 따르면 긴급재난지원금은 대기업 유통업체나, 온라인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프랜차이즈 경우나 직영이 아닌 가맹점에서만 결제가 가능하다.


파리바게트, 배스킨라빈스, 던킨, 빕스, 뚜레쥬르,계절밥상, BHC치킨, 이디야커피, 엔제리너스 등을 비롯한 대기업 브랜드들도 가맹점으로 운영되는 곳이라면 결제가 가능하다.


모든 편의점은 대다수 가맹점이기 때문에 사용이 가능하다. 


스타벅스의 경우는 100% 직영으로 운영되고 본사가 서울에 있기 때문에 경·대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 스티커


이 경우도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사용가능 매장'을 입구에 표시해 소비자 이용에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재난지원금 사용 가능 업소를 알려주는 스티커를 제작해 지역 상인들에게 배포하기로 했다.


댓글

재난지원금 꼭 신청하세요 (+총정리)

2020. 5. 5.


긴급재난지원금 


5월 4일은

기존 생계급여, 기초연금, 

장애인 연금 수급자 280만 가구만

 현금으로 지급!!


이들 가구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 수급자여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별도 신청없이

현금 계좌이체로 입금됩니다~






현금 수급 대상이 아닌 국민

(우리들 입니다^^)

[출처: YTN ]


① 신용 · 체크카드

(11일 카드사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or

18일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창구에서 신청)


 ② 지류 · 모바일 · 카드 지역사랑 상품권

 선불카드

(지역사랑 상품권, 선불카드는 18일 

주민센터 or 지역 금고은행에서 신청)


3개 중 1개를 선택해서 지원금으로 지급



긴급재난지원금 카드 사용처

사용 불가능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공과금, 월세, 유흥업소,레저,사행업종



그리고 현금이 아닌

모든 재난지원금은 8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된다니까 

빨리 써야겠죠?


예외로 

지역사랑 상품권은 사용기한 5년인데

그래도

꼭 8월 31일까지 사용하도록 부탁한다

정부의 방침이라고 해요




긴급재난 지원금 대상 여부와 가구원 수

확인하는 방법은 4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kr에서 조회 가능

(공인인증서는 꼭 필수!!)


세대주가 조회-신청 가능하며,

공적 마스크처럼 5부제 시행했습니다

출생년도 끝자리 

(19OX년 <- X 끝자리 해당)

[출처: 연합뉴스]


단, 긴급재난지원금은 개인이

아닌 가구 단위로 지급 합니다..

(주민등록상 세대분리가 되었어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와 자녀는 한가구로 간주!)



만약 신청일부터 3개월 안에 신청하지

않으면 자발적으로 기부로 간주한다네요


좋은뜻으로 기부 하게되면 

연말정산, 종합소득세때 

총 16.35%를 세액 공제를 받을수 있어서 

정말 괜찮은거 같아요 ^^


그리고 긴급재난지원금 안내문자에는

원래 인터넷 주소링크가 없다!고 합니다


혹시나 링크가 있다면 '스미싱'

으로 의심스럽기 때문에 

절때 링크를 누르지 않으셔야 됩니당

(개인정보 쏘옥~ 요금부과 우루루~)


댓글

긴급 재난지원금, 5월 13일 전국민에게 지급

2020. 4. 27.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 위한 국회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여야가 오는 29일, 수요일에 본회의를 열어 추경 예산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하면서 4인 가구 기준으로 최대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예정대로 진행된다며 정부가 준비 중인 "긴급재난지원금을 5월 10일부터 신청을 받아, 5월 13일부터 전 국민에게 지급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연합뉴스]

신청방식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일부 예외적인 경우 오프라인으로 받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을 전국민으로 추가예산 4조 6000억원 중 1조원 가량을 지방비로 충당할 계획이였다. 1조원은 예산을 재조정해 마련하기로 했지만, 3조 6000억원 전액을 국비로 충당키로 합의했다.


14조 3000억 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2171만 가구가 1인 기준 40만원, 2인 60만원, 3인 80만원, 4인 이상 100만원을 받게 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급수단은 현금, 카드, 상품권, 소비쿠폰 4가지가 다 동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개시일부터 3개월 안에 신청하지 않는 경우도 자발적으로 기부 의사가 있는걸로 간주한다.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을 기부하면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때 15%의 세액공제를 해줄 예정이다.

댓글